컨텐츠상세보기

한나절에 읽는 논어 (커버이미지)
웅진OPMS
한나절에 읽는 논어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이윤섭 
  • 출판사이북스펍 
  • 출판일2013-10-11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論語]에 대해 좋은 설명서가 많으므로 여기서 구구이 다시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단지 간단히 그 특색만 말한다.

[논어]는 공자(孔子, BC 552~BC 479)와 그의 제자들, 당시 사람들의 단편적인 언행이나 대화를 모은 글이다.

[논어]는 20편으로 내용이 나눠지는데 각 편에 따른 통일된 주제도 없으므로 편찬에 아무런 체계도 없다고 할 수 있다. 각 편의 제목도 그 편의 첫 구절에서 두 세 글자를 따서 붙인 것이다. 예를 들면 논어 1편의 제목은 「學而」인데 이는 1편의 첫 문장 ‘학이시습지불역열호(學而時習之不亦說乎 : 배우고 때로 익히면 기쁘지 않겠는가)’의 앞 두 글자를 딴 것이다.




앞의 10편에 비해 뒤의 10편은 직접 공자와 관계가 없다고 볼 수 있는 글이 많다. 또한 문장의 형식이나 어법까지 다르다. 이는 여러 사람이 [논어]를 편찬하였고 또한 여러 시대에 걸쳐 편찬했음을 뜻한다.




[논어]의 문장은 중국의 고전 중에서 가장 구어체에 가까운데 공자의 말투를 그대로 전하려 애쓴 흔적이 역력하다. 이는 말을 충실히 전하여 그 분위기나 감정도 전하려는 의도에서였다. 이 때문에 [논어]는 다른 경전보다도 재미가 있고 그 깊은 맛이 잘 전해진다.

[논어]가 불후의 고전인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인데, 현대 한국인들은 여간해서는 읽지 않고 있다. 이는 고전은 어렵고 양도 많을 것이라는 선입관 탓이 크다. 그러나 [논어]는 의외로 내용이 이해하기 쉬운데 이는 상식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분량도 한자로 5천 자 정도로 단편소설 한 편 분량이다. 그럼에도 대부분 양이 많은 것으로 오해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논어] 번역서들이 자세한 해설과 해제를 붙인 탓이다. 이 책에서는 해설을 최소화하여 독자 스스로의 이해를 기대한다. 짧은 분량이므로 부담이 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논어]에는 워낙 유명한 구절이 많아 사람들은 누구나 일부나마 내용을 안다고 할 수 있다. [논어]를 읽다 보면 ‘내가 들은 그 말의 출전이 바로 [논어]였구나’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될 것이다. 모두에게 일독을 권한다.

저자소개

이윤섭
1965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는 동네 아이들과 극성스럽게 놀기도 하면서 한편으로는 '책 읽기'에 몰두했다. 한국 경제사를 공부하고 싶어 대학에 들어갈 때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선택했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학문 연구할 뜻을 접었다. 대학시절에는 팸플릿, 소책자, 자료집을 작성하기도 했는데, 이때의 경험이 지금의 글쓰기에 도움이 되었다.
9·11 테러가 나자 정치 관련 도서를 출간하기로 출판 계약을 맺었던 출판사가 서둘러 요제프 보단스키의 [오사마 빈 라덴]을 번역 출판하려 하여 이 책의 일부를 번역하고 전문을 감수하게 되었다. 그동안 번역은 생각하지도 않다가 이 때문에 몇몇 번역서를 내게 되었다. 그리고 기존의 영어 학습용 도서 가운데 영어 실력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극히 적다고 생각하여 영어 학습서를 내기도 했다. 또한 저자는 기존의 역사서들이 '일국사一國史'적 시각으로 한국사를 기술하는 데 깊이 회의하여 한국사를 '세계사'의 일부로 서술하는 데 힘쓰고 있다.

번역서 : 오사마 빈 라덴(명상, 2001) 베이루트에서 예루살렘까지(창해, 2003) 대중의 미망과 광기(창해, 2004) 세계는 평평하다(창해, 2005)

저서 : 역동적 고려사(필맥, 2004) 쉽지만 깊이 읽는 한국사- 삼국시대편 (백산서당, 2004) 객관적 20세기 전반기사(필맥, 2010) 박정희정권의 역사(필맥, 2011) 세계 속 한국근대사(필맥, 2012)

목차

한나절에 읽는 논어
서문
1편 학이(學而)
2편 위정(爲政)
3편 팔일(八佾)
4편 이인(里仁)
5편 공야장(公冶長)
6편 옹야(雍也)
7편 술이(述而)
8편 태백(泰伯)
9편 자한(子罕)
10편 향당(鄕黨)
11편 선진(先進)
12편 안연(顔淵)
13편 자로(子路)
14편 헌문(憲問)
15편 위령공(衛靈公)
16편 계씨(季氏)
17편 양화(陽貨)
18편 미자(微子)
19편 자장(子張)
20편 요왈(堯曰)

한줄 서평